<p></p><br /><br />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빼면 전국적인 아파트 미분양 사태는 심각한 상황입니다.<br><br>창원에는 아예 100% 미분양인 곳까지 나왔습니다.<br><br>그러는 사이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는 2014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홍유라 기자의 더깊은 뉴스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<br>4300여 세대, 대규모 아파트 단지. <br> <br>현재 분양률은 0%입니다. <br> <br>차로 15분 거리에, 건설 중인 1200여 세대 아파트도 분양률은 5%를 밑돕니다. <br> <br>결국 위약금을 주고 분양포기 결정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[최창환 /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의창구지회장] <br>"주력산업이 조선업, 기계, 이런 모든 공단이 원활하게 잘 돌아갔으면…공단 자체가 침체되어 있고…." <br> <br>직격탄을 맞은 창원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탓합니다. <br> <br>[임현주 / 회원3구역 재개발 조합장] <br>"정부에서 잘 되는 데 묶는 건 좋다 이거야. 미분양 1위 지역이나 잘 되는 지역이나 똑같이 해버리니까 창원이 최고 힘들죠.">> <br> <br>미분양 여파는 지방 중소 건설사의 자금난으로 이어집니다. <br> <br>[중소 건설사 관계자] <br>"미분양 분도 다 공사비는 들어가는 부분이고. 부담이 안 될 순 없는거죠." <br> <br>최근 부도를 낸 경남 지역 한 건설사. <br> <br>1300여 세대에 대한 공사는 중단됐고 결국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했습니다. <br> <br>[부도 건설사 관계자] <br>"분양률이 저조 하니까 저희가 자금경색이 왔고. 8월에 공사비 밀린게 150억 원. 두번째 밀리면 300억 원이 되니까." <br> <br>[홍유라 기자] <br>"시공사가 부도 난 아파트 공사현장 입구입니다. 이렇게 보증사고가 났단 공고문이 내걸렸는데요. 다른 한쪽엔 공사비가 지급이 안돼 유치권을 행사중이라는 현수막이 여러개 붙었습니다." <br><br>사업주체가 계약을 이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곳을 사고사업장으로 공시했습니다.<br> <br>중도금 이자 탓에 계약자들은 고통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[정해준 / 분양 계약자] <br>"매달 이렇게 29만 얼마 이게 빠져 나가는데." <br> <br>계약자들 간에 분쟁도 불거집니다. <br> <br>돈을 돌려받는게 낫다는 측과 그래도 분양을 받는게 유리하다는 사람들간 이해관계가 충돌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환급이행 측] <br>"(시행사에서) 부동산 분들을 모아가지고 분양 이행을 모아오면 1건당 100만 원 씩 주겠다, 그렇게 얘기를 했대요." <br> <br>당사자는 아니라고 언성을 높이고, <br> <br>[분양이행 측] <br>"저는 10원짜리 한 장도 받은 게 없어요. 그런데 왜 자꾸 부동산이라고 색안경을 끼고." <br> <br>시행사 측은 더 절박합니다. <br> <br>사업이 중단될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지원받은 돈을 돌려줘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정영화 / 시행사 회장] <br>"환불되는 순간 (우리 회사는) 공중분해 될 겁니다. 조그마한 업체가 2천 몇백 억원 어떻게 감당합니까." <br> <br>문제는 지방 미분양 사태가 특정 지역만의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><br>집을 다 지었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한 아파트 물량이 거제와 김천, 창원 등 동남권 전체에 퍼져 있고, <br><br>그 여파로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는 1만 8000채에 육박합니다. 52개월 만에 최대치입니다.<br> <br>[심교언 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지방 전체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좀 우려된다고 볼 수 있어요. 사실 단기적 해결책은 굉장히 어렵고…." <br> <br>미분양 아파트 증가는 중소건설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불꺼진 아파트의 공포감도 확산되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